가공기술
자체 개발한 하이테크놀로지 3차원 가공기술을 적용해
착용자의 생활 환경에 최적화된 맞춤렌즈를 추구하는 프리폼 렌즈의 편안함과 선명함을 제공합니다.
-
- 닥터소모만의 독자적인 내면 프리폼 가공
- 자체 개발한 하이테크놀로지 3차원 가공기술을 적용해 착용자의 생활 환경에 최적화된 맞춤렌즈를 추구하는 프리폼 렌즈의 편안함과 선명함을 제공합니다.
-
- 스마트 양안 설계 (MBT)
- 안경 렌즈마다 코측과 귀측 디자인을 별도로 하여 개인 맞춤 변수를 고려한 시선 이동 및 비점수차
최적화
-
- 테 맞춤 설계 (POG)
- 렌즈가 안경 프레임에 놓여지는 상태 및 정점간거리 차이에 따른 시야 컨트롤 기술을 이용한 맞춤 설계
-
- 개인 맞춤 변수 적용
- 착용자의 평소 착용 상태를 렌즈 설게에 반영하여 개인 맞춤 제작
- 개인 맞춤 변수 적용으로 편안하고 넓어진 시야 제공
-
- 진화된 착용감 (DSO)
- Smooth한 디자인으로 민감한 착용자에게 효율적인 시야 제공
- 근거리를 볼 때 발생하는 폭주, 조절, 축동 등의 변수를 렌즈 설계시 조합해 근용부 강화
- 상의 흐림 현상을 최소화하여 빠른 시간내 적응시켜 높은 만족도를 가짐
-
- 라이프스타일 최적화 (DNVT)
- 리스팅 법칙에 의거해 시선의 이동을 계산하여 원∙근거리의 시야 범위 증가
- 착용자의 시생활에 맞게 적용된 원용부 강화
-
- 광선추적기술 적용 (DET)
- 렌즈 후면의 수직 길이와 시선의 위치를 계산해 주변부의 도수 오류를 감소
- 근시에서 향상된 원용부 제공/원시에서 탁트인 시야 제공
-
- 인셋 최적화 기술 적용(Inset Optimization)
- 근거리를 볼 때 눈이 모이는 위치가 바뀌어 안경 착용자에 따른 개별 설계 적용
- 중∙근용시 편안한 착용감을 유지하여 울렁거림 감소
-
- Real View Technology
- 자연스러운 시선의 이동으로 안경을 착용했다는 사실을 잊어버릴 정도로 착용 안경 대비 월등한 시야 개선 효과
-
- 수차 억제 기술 (MAT)
- 렌즈 주변부를 미세 분할하여 각 분할 면에 발생하는 수차와 프리즘 왜곡을 최소화
- 수차와 프리즘 왜곡을 최소화하여 울렁거림 감소
-
- 실내환경 최적화 (IET)
- 착용자의 작업 거리에 따라 Room, Computer, Book으로 구분
- 근용부 중심 설계로 탁트인 중∙근용 시야 제공
- 실내 작업 환경에 맞는 시선 이동 추적 기술 적용
-
- 수정체 조절 감소 디자인 (CRO)
- 노안이 아닌 사람에게 누의 긴장과 피로도를 감소
- 근용부에 수정체의 조절 반응을 도와주는 설계로 근거리에서 장시간 사용시에도 우수한 착용가 제공 및 피로 완화효과
-
- Anti-Fatigue 디자인 (Near by Single Vision)
- 단초점에 가까운 디자인으로 빠른 적응과 함께 작업 자세를 개선해 어깨, 목 등의 피로감 저하
-
- 청소년 망막 광선 추적 시스템
- 성인과 다른 어린이/청소년의 키 높이에서 들어오는 광선을 추적하여 렌즈 설계에 반영
- 근거리에서 발생하는 조절을 이완시켜 근시 진행 속도를 늦추는 기술
- 국내 유일 어린이 임상 테스트를 거친 프리미엄 디자인
- 시생활에 맞게 적용되어 더 넓고 선명한 시야 제공
-
- User Power 적용
- 안경렌즈의 도수를 착용자에게 맞게 고유의 계산 방식을 적용시켜 넓은 시야 제공
- 기존 처방 도수와 다르게 착용자에게 적합한 도수로 변형되어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
-
- 열쇠구멍 효과
- 내면 프리폼의 경우 외면 누진보다 눈과 가까이 위치해 수차 영역을 눈 밖으로 밀어냄
- 약 30% 넓어진 시야 제공
-
- Surface Power 적용
- 착용자의 검사 수치와 동일한 값이 적용되어 사요아의 도수에 알맞게 적용
-
- 안경테 최적화 (FSO)
- Frame Data를 고려한 처방도수의 비점수차 최적화
- 렌즈 가공 범위 내 수차 부분을 가공 범위 밖으로 밀어내는 기술
-
- 인체 공학적 설계 (ED)
- 안구 회선각을 계산해 주벼누 왜곡 현상을 감소시켜 약 30% 넓어진 시야 제공
-
- 아토릭 디자인 적용
- 안경렌즈의 모든 경선을 계산하여 360˚ 전방위에서 가장 최적화된 비구면으로 주변부 왜곡 현상 감소